찾고 있는 질문이 없다면? Q&A

많이 찾는 질문

Smile with CESCO

  • 거미는 약제를 뿌려도 계속 생겨요.

    거미의 방제방법은 먼저 거미를 찾아서 약제를 살포합니다. 거미는 살충제에 매우 민감하므로 어떤 약제를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거미를 구제한 후에 거미줄을 제거합니다. 거미줄 제거시 거미줄에 거미알집이 있으면 반드시 제거하여야 합니다. 거미알집은 일반 살충제로 죽지 않으므로 만약 거미알집을 제거하지 않으면 수십마리의 어린 거미가 다시 피해를 입힐 것입니다.

  • 모기는 교미를 어떻게 하나요?

    야외에서 활동하는 모기의 경우 대체로 일몰직후나 일출직전에 1~3m 높이로 결혼비행을 하나 숲모기의 경우에는 1:1로 교미를 합니다. 그리고 가주성 모기인 지하집모기의 경우 1.5㎠ 의 좁은 공간에서도 교미를 할 수 있습니다. 모기 암컷은 대체로 일생에 1회의 교미를 하며 한 번 교미하여 별도의 정자낭에 정충을 보관하였다가 계속 산란합니다.

  • 거미는 해충인가요?

    거미는 주로 다른 곤충류를 섭식하는 포식자이며, 이 과정에서 많은 해충을 제거하므로 익충으로 분류됩니다. 대부분의 거미들은 독액을 분비하지만 보통 인간에게는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며, 대부분 야행성이며, 물린다 하더라도 벌의 독성보다 약합니다. 거미는 거미집을 만들어 먹이가 포획되기 만을 기다리는 종류와, 스스로 이동하며 먹이를 직접 포획하는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문제되는 거미류는 전자인 경우이다.

  • 모기에게 잘 물리는 사람과 잘 물리지 않는 사람이 있나요?

    모기가 피를 흡입할 대상을 찾을 때는 원거리에서는 사람의 체취, 중거리에서는 이산화탄소 (CO2)발생, 근거리에서는 체온과 체습을 감지하여 이동합니다. 그리고 근거리에서 시각을 이용하여 흡혈대상을 고르기도 합니다. 이 때 흡혈대상 선택의 중요한 인자는 사람의 체온과 체습입니다. 그러므로 체온이 높고 몸에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이 모기에 잘 물린다고 볼 수 있습니다. 모기에게 물리지 않으려면 잠자리에 들기 전에 샤워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먼지다듬이(책벌레)가 어떤 해충인가요?

    먼지다듬이는 일명 책벌레라고도 하며 우리나라에선 3과가 알려져 있는 1~7㎜의 미소 곤충입니다. 잡식성으로 균류, 꽃가루, 마른 식물, 곡물가루, 곤충의 시체 및 먼지도 섭취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습하고 따뜻한 곳을 좋아하며 주요 서식처로는 습한 바닥, 배관틈새, 벽 틈새, 석고보드, 가구 등에서 서식을 할 수 있습니다. 불쾌곤충(nuisance insect)으로 불쾌감, 불결감, 공포감 또는 혐오감을 주고 일상생활에 불편을 야기하며 알러지를 유발하기도 합니다. 세스코에서는 먼지다듬이 방제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습니다.

  • 모기가 흡혈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모기는 암컷과 수컷의 습성이 다릅니다. 모기의 수컷은 과일의 즙, 꽃의 꿀, 수액 등의 수분을 먹는 반면 암컷은 온혈동물의 피를 빨아 피 속의 단백질을 섭취하여 난소 속에 있는 알의 발육이 되어야 산란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산란할 때마다 구기(침)를 이용하여 흡혈을 합니다. 특이하게 지하집모기의 경우 1회에 한하여 흡혈 없이도 산란이 가능합니다.

  • 그리마를 왜 돈벌레라고 하나요?

    그리마를 돈벌레라고 부르는 이유는 옛날에는 집이 난방이 잘 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리마가 있는 집이면 난방이 되는 따뜻한 집이면서 외부에서 물건의 유입이 되기 때문에 그리마를 돈벌레라도 불렀습니다. 하지만 요즘 그리마가 집에서 나온다고 부자는 아니겠지요? 그러나 이 약제는 물에 약하므로 비가 오면 효과가 상실됩니다.

  • 장구벌레란 무엇인가요?

    모기는 알, 유충, 번데기 시기를 거쳐서 성충이 됩니다. 모기의 유충을 장구벌레라고도 하며 장구벌레는 고인물에서 서식하며 물속에 있는 유기물을 먹이로 하여 생활합니다. 물 속의 산소로 호흡하지 않고 공기 중의 산소로 호흡을 하므로 항상 물 표면에 떠 있습니다.

  • 집에 조그만 지네같이 생긴 해충이 있어요.

    지네와 같은 절지동물에는 그리마와 노래기가 있습니다. 모두 다리가 많은 것이 특징이며 그리마와 노래기는 2 ~ 5cm정도의 크기 입니다. 그리마는 다리가 긴 편이고 노래기는 다리가 짧습니다. 그리마와 노래기 모두 습기가 있고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서 서식을 합니다. 노래기나 그리마의 경우 벽면 틈새, 낙엽속, 큰돌 하단부, 하수구 벽면 등에서 주로 서식을 합니다.

  • 모기는 어떤 형태로 겨울을 이겨내나요

    숲모기와 말라리아 모기 등과 같은 야외성 모기는 온도가 일정한 하수도, 동굴 등에서 성충으로 월동을 하여 날씨가 따뜻해지는 4월경에 밖으로 나와 활동을 시작합니다. 요즘은 고온현상으로 월동기간이 짧아져 외부의 서식밀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큰 건물의 정화조나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가주성 지하집모기는 온수 사용으로 인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에 영향을 받지 않고 1년 내내 활동합니다